카테고리 없음

2025년 중위소득 100% 150% 180% 기준 총정리

zxcsw 2025. 6. 21. 02:00
반응형

복지·지원금 자격 판단의 핵심 지표! 내 소득은 어디쯤일까?

정부나 지자체의 각종 복지정책, 지원금, 정책대출은
신청 조건에 **"중위소득 ○% 이하 가구"**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그렇다면 중위소득 150%, 180% 기준은 실제 얼마를 의미할까요?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는 기준표를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며, 복지 정책과 지원금 지급 기준의 척도로 활용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별)

가구원 수100% 기준150% 기준180% 기준
1인 가구 2,227,000원 3,340,500원 4,008,600원
2인 가구 3,698,000원 5,547,000원 6,656,400원
3인 가구 4,755,000원 7,132,500원 8,559,000원
4인 가구 5,805,000원 8,707,500원 10,449,000원
5인 가구 6,809,000원 10,213,500원 12,256,200원
6인 가구 7,763,000원 11,644,500원 13,973,400원
7인 가구 8,722,000원 13,083,000원 15,699,600원
 

※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월 소득 기준)
※ 세전소득 기준이며,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환산되기도 함


💬 중위소득 퍼센트는 언제 활용될까?

중위소득 150% 이하, 180% 이하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분야적용 예시
청년·신혼부부 대출 청년 전세대출, 청년도약계좌 등
복지정책 한부모가정 지원금, 에너지바우처
보건복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판별
고용정책 취업성공패키지, 청년내일채움공제
교육 교육급여, 국가장학금
 

🧮 중위소득 계산 시 주의할 점

  • 가구 소득은 급여 외에 프리랜서 수입, 사업소득, 임대소득, 금융소득까지 포함
  • 가구원 수는 건강보험 피부양자 기준과 다를 수 있음
  • 일부 제도는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환산된 중위소득을 사용

✅ 요약 정리

✔ 중위소득은 복지 및 정책 지원 대상 판단 기준
✔ 2025년 기준, 4인 가구 100%는 580만 원 / 150%는 약 870만 원
✔ 각종 정부지원사업·대출·혜택 신청 전, 가구 소득과 인원 체크는 필수
✔ 실제 소득이 아니라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환산 적용되는 경우도 있음


📌 TIP:
보건복지부 중위소득 계산기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판정모의계산 기능을 활용해보세요!

반응형